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외로움’에 관해
    농장소식/'만돌이 농원' 2019. 2. 27. 15:53



                                    

                                             외로움에 관해

     

     

     

                                                                  윤근택(수필가/수필평론가/문장치료사)

     

     

     

     

     

       세상에서 가장 높은 산은 에베레스트’. 그 높이는 해발 8,850미터 혹은 8,848미터. 네팔과 중국의 국경지대에 자리하며, 네팔 사람들은 사가라마타(하늘의 이마)’ 혹은 초롱룽마(세상의 어머니)’로 부른다고 한다. 영국의 측량사 조지 에버리스트(George Everest)’가 높이를 측정했다 하여 그 공로를 기려 붙여진 산 이름이라고 한다.

       한편, 한반도에서 가장 높은 산은 백두산. 그 높이는 내 고향마을에 사는 백씨(伯氏)의 전화번호 뒷자리 ‘2744’와 정확히 일치하는 터라 죽을 때까지 잊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남한에서 가장 높은 산은 한라산. 그 높이는 해발 1,950미터. 나는 이 수치 또한 영원히 잊지 않을 것이다. ‘한 번 구경 오십시오.’로 풀이할 수 있기에. 하지만, 60 평생 한 번도 제주도 구경을 해본 적 없다.

       자, 내가 왜 위 세 개 산 높이를, 시쳇말로 뜬금없이 끌어들였을까? 봄이 오는 길목, 내 농막 뒤란 양지쪽에 놓인 흔들의자에 앉아, 멀리 선의산(仙義山)’ 산자락을 바라보다가 어떤 외로움을 생각해 내었기에. , 선의산을 간략히 소개해야겠다. 선의산은 내 농장이 있는 경산시 남천면 송백리청도군 청도읍 운산리를 가르는 산으로서 그 높이가 해발 757.1미터이며, 명산(名山)으로 알려져 있다. 경산시 지정 등산로이기도 하다.

       지금부터 내가 위 단락에서 흘려놓은 어구(語句), ‘어떤 외로움의 정체를 본격적으로 이야기하려 한다. 에베레스트든 백두산이든 한라산이든 선의산이든 그들 산은 제각기 높아서, 산 스스로는 그 높이만치나 외로울 테지. 그러한데 그러한데... 종종 내가 여러 산 중턱이나 고갯마루를 바라볼 적에 예외없이 그야말로 객쩍은(쩍은객적은)’ 나그네가 그곳에 자리하며, 그들은 오로지 타의(他意)에 의해 외로움과 인고(忍苦)를 맛보고 있더라는 거. 바로 고압전선을, 마치 빨랫줄을 바지랑대로 괴듯괴어 받친(?)’ 송전탑. 사실 거대한 송전탑은 남들이 거들떠 봐 주지도 않는 그곳 산자락 또는 산마루에 언제고 한 자리에 서 있더라는 거 아닌가. 지금 내가 농막 뒤란 양지쪽 흔들의자에 앉아 바라보는 저 선의산 산 능선에도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송전탑이 서 있다. 외로움 한껏이 아닐 수 없다. 우리네 인간들한테는 전열(電熱)과 조명(照明)을 한 순간도 놓치지 않고 전해주는 무생명의 구조물이기는 하지만... . 송전탑 사이사이에 늘어진 고압전선도 쓸쓸함과 서글픔을 더해주기는 마찬가지. 내 지난 직장의 선배이자 원로 시조시인인 박기섭(1954~). 그는 1980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당선했다. 그 당선작은 閑秋餘情으로서 내가 그이로부터 직접 들은 내용이 얼추 기억난다. 시인은 자신의 남동생이 어린 나이에 죽었는데, 그 섭섭함과 그 섭섭함에 이어지는 쓸쓸함을, ‘가을날 마당에 드리워진 빨랫줄을 바지랑대로 받쳐놓은 듯하다고 노래하고 있다.

     

       閑秋餘情

       1

       바지랑대 받쳐놓듯 섭섭한 이 가을날

       못다 꿰맨 인연 끝에 실밥이 드러나고

       서정의 풀씨를 받는 차 한 잔의 그 아미(蛾眉).

       2

       네 생각 강여울에 먼 인연의 목선 하나

       산빛 물빛 무상(無上) 좋은 가을 속을 저어와서

       이승의 저자 전전(廛廛)을 기웃대는 전생(前生)의 삶.

       3

       내 시름의 먼 벗이 와 굵은 테 안경을 닦으면

       그 눈썹에 실려 온 산이 윗목에 가서 앉고

       가을은 산을 내려와 몇 점 원경(遠景) 다가선 뜰.

     

     

       저 선의산 산자락에 자리한 송전탑과, 쳐진 고압선이야말로 박 시조시인이 노래했던 대로 바지랑대 받쳐놓듯 섭섭한분위기를 자아낸다. , 일찍이 유치환(柳致環, 1908~1967)깃발을 이렇게 노래했다.

     

     

       이것은 소리없는 아우성

       저 푸른 해원(海原)을 향하여 흔드는

       영원한 노스탈지어의 손수건

       순정은 물결같이 바람에 나부끼고

       오로지 맑고 곧은 이념의 푯대 끝에

       애수는 백로처럼 날개를 펴다

       아아 누구던가

       이렇게 슬프고도 애달픈 마음을

       맨 처음 공중에 달 줄을 안 그는

     

     

      ‘이념의 푯대는 아닐지라도, 고압선을 떠받든 저 송 전탑. ‘ 슬프고도 애달픈 마음은 아닐지라도, ‘맨 처음 저 산자락에 송전탑을 세우고 고압선을 달 줄을 안 그는대체 누구일까? 송전탑, 그것이 만약 산꼭대 기이면, 무수한 등반가들이 앞 다투어 오를 테지만, 그 것을 탐하는 이는 없다. 어쨌든, 송전탑은 남들이 거들 떠보지 않는 곳에서 호젓이 인고의 세월을 맞는 존재임 에는 틀림이 없다. 산술적으로 따지면, 자기가 자리 한 산에서 가장 높지만, 티내는 구석이 전혀 없는 듯하 다. 마치 철로(鐵路) 아래 켠에 자리한 갱목(坑木)처 럼, 송전탑도 숙명인 양 자기 몫을 묵묵히 다 하고 있다는 것을. 저기 선의산 꼭대기에 서 있는 송전탑. 마치 거인(巨人)같기도 하며, 그리스 신화 속 인물시지푸스 (Sisyphos)’도 떠올리기에 족하다.

       이 호젓하기만 한 산 속 외딴 농막. 양지바른 농막 뒤란 흔들의자에 앉아, 나는 여태 선의산 산꼭대기의 송전탑을 바라보고 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