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장수련(90)/ 이정미 헌법재판관 퇴임사문장이론/문장수련(문장이론) 2017. 3. 13. 22:52
문장수련(90)
‘이정미 헌법재판관 퇴임사 전문’
윤근택(수필가)
사랑하는 헌법재판소 가족 여러분!
저는 오늘 헌법재판관의 임기를 마치고, 정든 헌법재판소를 떠나게 되었습니다.
헌법재판관으로서의 지난 6년, 그리고 30년 동안의 공직생활을 돌이켜 보게 됩니다. 흔히 얘기하듯이, 큰 과오 없이 무사히 소임을 다할 수 있었다는 점, 참으로 다행스럽고 고마울 따름입니다. 이 모든 것은 여러 재판관님들과 헌법재판소의 모든 가족 여러분들의 도움 덕분이었습니다.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헌법재판관이라는 자리는 부족한 저에게 참으로 막중하고 무거웠습니다. 고요하고 평화롭기만 해 보이는 그 자리가 실은 폭풍우 치는 바다의 한가운데였습니다. 또한 여성 재판관에 대해 우리 사회의 소수자와 여성이 기대하는 바도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런 때, 어떤 판단이 가장 바르고 좋은 것인지, 고민에 고민을 거듭하였습니다. 저의 그런 고민이 좋은 결정으로써 열매 맺었기를 바랄 뿐입니다.
여러분 모두 아시다시피, 지금 우리나라는 안팎으로 큰 어려움에 처해 있습니다. 세계정세는 급변하고 있으며, 우리는 내부적 갈등과 분열 때문에 진통을 겪고 있습니다.
우리 헌법재판소는 바로 엊그제 참으로 고통스럽고 어려운 결정을 하였습니다. ⓞ이번 결정을 함에 있어서도 헌법과 법률에 따라 공정하게 절차를 진행하면서, 헌법의 정신을 구현해 내기 위하여, 온 힘을 다하였습니다.
①우리가 현재 경험하고 있는 통치구조의 위기상황과 사회갈등은, 민주주의와 법치주의, 그리고 인권 보장이라는 헌법의 가치를 공고화하는 과정에서 겪는 진통이라고 생각합니다. 비록 오늘은 이 진통의 아픔이 클지라도, 우리는 헌법과 법치를 통해 더 성숙한 민주국가로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믿습니다.
②“법의 도리는 처음에는 고통이 따르지만 나중에는 오래도록 이롭다.”(法之爲道前苦而長利, <한비자>)는 옛 중국의 고전 한 소절이 주는 지혜는 오늘도 유효할 것입니다.
우리가 사랑하는③ 민주주의, 그 요체는 자신의 생각과 다르더라도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는 데 있다고 믿습니다. 저는 이번 진통을 통해 우리 사회가 보다 자유롭고 평등하며, 보다 성숙하게 거듭나리라고 확신합니다. 이제는 분열과 반목을 떨쳐내고 사랑과 포용으로 서로를 껴안고 화합하고 상생하길 간절히 바랍니다.
④늘 헌법재판소를 신뢰해 주시는 국민 여러분께 경의를 표하고 그 성원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헌법재판소에 주신 국민 여러분의 ⑤격려와 기대, 비판과 질책은 모두 귀하고 값진 선물과 같았습니다.
헌법재판소 가족 여러분,
그 동안 부족한 저를 도와주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좋은 환경에서 멋진 사람들과 함께 일할 수 있어 행복했습니다. ⑥그 동안 혹시라도 저로 인하여 상처를 받으시거나 서운한 일이 있었더라도 너그러이 용서하여 주시길 빕니다.
헌법재판소가 늘 국민의 행복을 실현하고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계속 큰 역할을 다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늘 함께 하여 주신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안녕히 계십시오.
감사합니다.
2017년 3월 13일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헌법재판관 이 정 미
* 옮긴이 윤근택 수필가의 말
그의 퇴임사에서 두드러진 점은, 밑줄 친 부분들입니다. 그는 비교적 모국어를 제대로 부려 쓸 줄 아는 사람이네요. 특히, 맞춤법 규정에 ‘쉼표의 기능은 15개’로 규정되어 있는데, 그 규정을 비교적 제대로 따른 듯해요.
구체적으로 몇 군데 짚어볼까요?
ⓞ이번 결정을 함에 있어서도 헌법과 법률에 따라 공정하게 절차를 진행하면서,
* 마땅히 쉬어야 할 곳에서 쉬었다.
① 우리가 현재 경험하고 있는 통치구조의 위기상황과 사회갈등은,
* 문장 성분 사이에 거리가 멀 때에 쉼표를 친다는 규정을 잘 따름. 위 밑줄 친 부분이 주어부임.
② “법의 도리는 처음에는 고통이 따르지만 나중에는 오래도록 이롭다.”(法之爲道前苦而長利, <한비자>)는
* 문장부호도 인수분해처럼 찍어야 한다.
☞ “법의 도리는 처음에는 고통이 따르지만 나중에는 오래도록 이롭다(法之爲道前苦而長利).” <한비자>는
☞ “법의 도리는 처음에는 고통이 따르지만 나중에는 오래도록 이롭다(法之爲道前苦而長利<한비자>)."는,
*'는,'으로 쓴 이유 : 위에서 이미 언급했듯이,문장 성분 사이에 거리가 멀 때에 쉼표를 친다는 규정을 따름. 위 밑줄 친 전체가 주어부임.
* 단, 바로 위와 같이 고칠 경우의 문제점 : 주어부가 너무 길어져 '대갈장군형(?)'의 문장이 된다. 해서, 첫번째처럼 일단 문장을 '.'로 끊어주고, 동격(同格)의 어휘인 '한비자'를 주어로 삼아 되받으면 낫다.
③ 민주주의, 그
* ‘제시어 다음에는 쉼표를 친다.’ 는 규정을 잘 따름.
④ 늘 헌법재판소를 신뢰해 주시는 국민 여러분께 경의를 표하고
* 쉬어야 할 곳에서 쉬지 않았다.
☞ 늘 헌법재판소를 신뢰해 주시는 국민 여러분께 경의를 표하고,
⑤격려와 기대, 비판과 질책은
* 짝을 이룬 어휘들 사이에 쉼표를 아주 잘 쳤다.
공식) a와 b, c와 d
⑥그 동안 혹시라도 저로 인하여 상처를 받으시거나 서운한 일이 있었더라도
* ‘절(節)과 절 사이에는 쉼표를 친다.’ 는 규정을 아니 따른 예다.
☞ 그 동안 혹시라도 저로 인하여 상처를 받으시거나 서운한 일이 있었더라도,
* 이 글은 본인의 블로그, 이슬아지에서도 다시 읽으실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한국디지털도서관 본인의 서재,
한국디지털도서관 윤근택에서도 다시 읽으실 수 있습 니다.
* 이 글은 본인의 카페 이슬아지에서도 다시 읽으실 수 있습니다.